스태그플래이션 Stagflation이란 저성장, 고물가 상태로 경제는 침체된 가운데 물가가 치솟는 상태이다. 투자가들에게 최악의 상태라고도 하며 많은 이들이 앞으로 세계 경제가 스태그플레이션을 겪을 것이라 예측하고 있는 듯 하다.
2008년 금융위기를 예측한 'Dr. Doom'으로 불리는 누리엘 루비니(Nouriel Roubini ) 교수 역시 스태그플레이션을 예고하며 향후 10년간 투자세계에 난관을 예측하는 새로운 기사가 떠서 번역본을 올려본다.
경제 흐름을 공부하기 시작한 후로 많은 경제 전문가들의 견해를 기사로 접하게 되는데, 각자 자신만의 신념과 시각이 확고한 편인지라 어떤 사람들의 말은 그냥 조금 흘려듣게도 되지만, 누리엘 루비니 교수의 견해는 진중하게 다가오는 편이다.
1. 기사 원문 링크
오늘자 기사이며 원문은 아래 링크 참조:
Market 'Bloodbath' to Continue With Investors to Lose Tens of Trillions (businessinsider.com)
The market 'bloodbath is likely to continue' with investors set to lose tens of trillions over next decade, Nouriel Roubini says
Markets will crash as a mix of headwinds will keep average inflation at around 5% through the decade, "Dr. Doom" wrote in Project Syndicate.
markets.businessinsider.com
2. 요약
간단히 요약하자면,
- 스태그플레이션이 전 세계적인 위협이자 도전과제가 될 것
- 침체의 장기화가 예측됨
- 향후 10년간 채권, 주식 등을 포함한 투자자들의 장기적 손실이 십조 달러에 이를 수 있음 (tens of trillions)
- 고 인플레 유지, 이에 따른 중앙은행의 고금리 유지로 침체 예상
3. 원문 번역
'닥터 둠'으로 알려진 누리엘 루비니 교수가 지난 금요일에 발표한 Project Syndicate 기사에서 세계 경제는 "메가위협 시대"를 맞이하고 있으며, 스태그플레이션은 주요 시장 핵심 요인으로 부상할 것으로 전망했다.
이는 2022년 투자자들이 겪은 경기 침체가 장기적인 트렌드로 나타날 것이며 주식과 fixed-income 시장 모두에 반영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 피의 향연은 계속될 것으로 보인다," 루비니는 썼다.
인플레이션이 5%로 유지된다고 가정하면, 이에 따라 장기채 수익률은 실제 수익률이 2.5%가 되기 위해 약 7.5%에 가까워져야 한다고 그는 설명했다.
하지만 만약 국채 수익률이 약 4.5%에서 7.5%로 상승한다면, 국채 가격은 30% 하락하게 되고 주식시장은 "심각한 약세장"에 놓일 것이라고 그는 덧붙였다.
"전 세계적으로 채권 보유자와 주식 투자자 모두에게 손실은 향후 10년간 약 10조 달러에 달할 수 있다," 루비니는 경고했다.
인플레이션이 계속해서 높은 수준을 유지하는 이유로 그는 노동 인구의 고령화부터 탈세계화, 전쟁 및 기후 적응과 같은 분야에서 정부 지출 증가까지 다양한 위협을 언급했다.
그러나 더욱 악화된 상황은 민간 및 정부 차입금 양이 급증하면서 중앙은행들에게 "부채의 덫" 상황을 유발하고 있다. 그리고 금리를 높여 인플레이션을 줄이려는 노력은 높은 레버리지를 떠안은 채무자들에게 침체를 유발할 위험성이 있으며 이는 바로 정부가 피하고자 하는 바이다.
이에 직면한 중앙은행들은 여전히 너무 높은 인플레이션에도 불구하고 금리 인상을 중단하는 등의 조치를 통해 인플레이션 목표를 역사적 평균 수준 이상으로 높일 수 있다고 루비니는 말했다.
다른 분석가들도 공공 차입과 지출 증가가 채무비율을 줄이지 않는다면 결국 채무불이행으로 이어질 것이라고 경고했다. 루비니는 몇몇 국가는 이 상황에 대처하기 위해 치솟는 인플레를 허용하고 명목 부채를 줄일 것이라고 예측했다.
'경제 금융 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S&P500이 답인가?: 피터 린치의 '이기는 투자'를 읽고 얻은 인사이트 5가지 (2) | 2023.11.27 |
---|---|
JEPI vs. JEPQ : 고배당 ETF 정말 좋을까? (0) | 2023.07.13 |
김승호 회장 돈의속성 술술 읽힌 이유 (1) | 2023.05.10 |
식비 줄이기 : 똑똑하게 아끼는 7가지 방법 (1) | 2023.04.18 |
미국 금리 : 누가, 어떻게 결정할까? (0) | 2023.04.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