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유용한 정보

처서 매직, 입추 매직? 신기한 24절기

달력에 작은 글씨로 적혀있는 '소설' '대한' '입동' '백로' 등등의 24절기!

평소에는 큰 관심이 없다가 유독 더위, 추위가 가시기를 바랄 때 크게 관심이 가는 것 같아요. 

유난히 무더웠던 올 여름, 입추가 지남에 따라 정말 신기하게도 아침 저녁으로 선선한 바람이 부는 것을 느낄 수 있었는데요. 

이 때문에 '입추 매직(magic)'이라는 말도 생겼습니다. 그런데 입추로 부터 약 2주 뒤 '처서'에는 더위가 한풀 더 꺾일 것으로 예상이 되는데요. 

처서 매직 언제?

올해 처서는 8월 23일입니다.

처서의 뜻은 '더위가 식고 일교차가 큼' 이란 뜻 입니다. 

매년 날짜는 달라질까요? 그렇지 않습니다. 

예상과 달리 24절기는 음력 날짜를 기반으로 만들어진 것이 아니고 양력을 바탕으로 만들어진 개념입니다. 

24절기는 무엇일까?

농경사회에서는 음력을 기반으로 생활하였지만, 계절과 태양 공전 주기와의 차이를 보완하기 위해 태양의 움직임을 바탕으로 24절기의 개념을 만들어 사용했다고 합니다. (중국 화북 지방의 기상상태에 맞추어 만들어졌다고 함.)

따라서 24절기는 양력으로 매월 4~8일 사이와, 19~23일 사이에 위치합니다. 

춘분을 0도로 잡고 지구가 태양을 도는 황도에서 15도씩 움직일 때마다 절기를 만들어 총 24절기가 됩니다. (15도 X 24 = 360도)

아래 그림을 보면 이해하기 쉽습니다.(출처:네이버 두산백과)

24절기 그림
출처: doopedia.co.kr

각 계절을 6등분 하고, 각 월마다 두 개의 절기가 위치합니다. 

중국 황하 지역의 생태계의 변화를 보고 정한 날이라고 하는데 아직까지 계절의 변화가 피부에 와닿을 정도로 잘 맞아떨어지니 너무 신기하지 않나요?

반응형

순태음력의 불편함을 보완하기 위해 만들었다는 24절기, 평소에 조금씩 관심을 가지고 살면 계절의 변화를 더 만끽 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봄:입춘(2월 4일경), 우수(2월 19일경), 경칩(3월 6일경), 춘분(3월 21), 청명(4월 6일경), 곡우(4월 20일경)
여름:입하(5월 5일경), 소만(5월 21경), 망종(6월 6일경), 하지(6월 21경), 소서(7월 7일경), 대서(7월 23일경)
가을:입추(8월 7일경), 처서(8월 23일경), 백로(9월 8일경), 추분(9월 23일), 한로(10월 8일경), 상강(10월 23일경)
겨울:입동(11월 7일경), 소설(11월 22일경), 대설(12월 7일경), 동지(12월 22일경), 소한(1월 5일경), 대한(1월 20일경)

 

참고할 점!

신기하게도 친숙하지만 24절기에 해당하지 않는 날짜들이 있었습니다. 

"한식, 단오, 삼복(초ㆍ중ㆍ말복), 칠석은 24절기가 아니다."  (두둥!) 

신기하게도 더위를 이기기 위해 닭을 잡아야할 것 같은 초복, 중복, 말복은 절기의 일부가 아니었네요. 

 

이하 네이버 지식백과내용을 참고하여 정리하였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 24절기 [二十四節氣] (두산백과 두피디아, 두산백과): 24절기 (naver.com)

[네이버 지식백과] 24절기 - 태양의 운행 주기에 따라 농사를 짓는다 (대단한 하늘여행, 2011. 4. 8., 윤경철) :24절기 (naver.com)

2023.07.09 - [유용한 정보] - 무기자차 유기자차 성분 차이점 장단점 정리

 

무기자차 유기자차 성분 차이점 장단점 정리

무기자차 물리적 자외선 차단제: 피부에 보호막을 형성해서 자외선 침투를 반사한다. 주요 성분: 티타늄디옥사이드, 징크옥사이드 장점: 안전하고 순한편으로 자극이 적다. 어린이 선크림으로

booklogger22.tistory.com

 

반응형